성인병(고혈압,당뇨)

혈압약 부작용으로 기침이 나요… 바꿔야 할까요? 원인과 대처법

이슈트랜드 2025. 8. 5. 21:34

혈압약 부작용으로 기침이 나요… 바꿔야 할까요? 자세히 알아보기

고혈압은 현대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혈압약 복용은 혈압을 관리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혈압약 복용 후 기침이 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요, 이러한 증상은 혈압약 부작용의 하나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혈압약 복용 후 기침이 나는 원인과 대처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혈압약과 기침,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요?

혈압약 중 ACE 억제제(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는 기침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ACE 억제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동시에 브라디키닌이라는 물질의 분해를 억제합니다. 브라디키닌은 기관지를 자극하여 마른기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ACE 억제제 복용 환자의 약 5~20%에서 기침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ACE 억제제 종류:
    • 에날라프릴 (Enalapril)
    • 리시노프릴 (Lisinopril)
    • 캡토프릴 (Captopril)
    • 라마프릴 (Ramipril)
    • 페린도프릴 (Perindopril)

기침 증상, 어떻게 나타날까요?

ACE 억제제로 인한 기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 마른기침: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이 특징적입니다.
  • 지속적인 기침: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 밤에 심해지는 기침: 밤이나 누워 있을 때 기침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목의 이물감: 목에 무언가 걸린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기침의 정도는 개인차가 크며, 심한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도 있습니다.

기침이 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의사와의 상담: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와의 상담입니다. 혈압약 복용 후 기침이 시작되었다면, 반드시 의사에게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기침의 원인이 ACE 억제제 때문인지 다른 원인 때문인지 판단할 것입니다.

2. 약물 변경 고려:

ACE 억제제가 기침의 원인으로 판단되면, 의사는 다른 종류의 혈압약으로 변경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ARB(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는 ACE 억제제와 유사한 효과를 내면서도 기침 부작용이 적은 약물입니다. ARB는 브라디키닌 분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기침을 유발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 ARB 종류:
    • 로사르탄 (Losartan)
    • 발사르탄 (Valsartan)
    • 올메사르탄 (Olmesartan)
    • 텔미사르탄 (Telmisartan)
    • 이르베사르탄 (Irbesartan)

3. 기침 완화 방법:

약물 변경 전까지 기침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들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기관지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가습기 사용: 건조한 공기를 피하고,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꿀물: 꿀은 기침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따뜻한 차: 생강차, 유자차 등 따뜻한 차는 기관지를 이완시켜 기침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다른 원인 감별:

기침의 원인이 혈압약이 아닌 다른 질환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감기, 알레르기,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정확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혈압약 복용 시 주의사항

  • 정기적인 혈압 측정: 혈압약을 복용하는 동안에는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혈압이 잘 조절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의사에게 알리기: 혈압약 복용 후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에게 알리고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 임의로 약 복용 중단하지 않기: 혈압약을 임의로 중단하면 혈압이 다시 상승하여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반드시 의사와 상의 후 약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결론

혈압약 복용 후 기침이 나는 경우, ACE 억제제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기침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변경, 기침 완화 방법, 다른 원인 감별 등을 통해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고혈압 관리는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혈압약 복용뿐만 아니라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혈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